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챗GPT에서 지브리 프사 만드는 거야?’…120만이 넘게 빠진 AI 프사 열풍!

by mmmouse 2025. 4. 2.

2025년, 봄. 지금 온라인에서는 정체불명의 아름다운 그림체 프로필 사진이 SNS 타임라인을 뒤덮고 있습니다. "이거 어디서 했어?"라는 질문에 돌아오는 대답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챗GPT에서 했어.”

이제 챗GPT는 단순한 텍스트 챗봇을 넘어, 이미지 생성까지 가능한 AI 콘텐츠 플랫폼으로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출시된 이미지 생성 기능을 통해 ‘지브리 그림체 프사’가 유행처럼 번지면서 이용자 수가 급격히 폭증하고 있습니다.


하루 이용자 120만 명 돌파! 챗GPT 지브리 프사 열풍의 비밀

2025년 3월 27일, 챗GPT의 **국내 일간 이용자 수(DAU)**가 125만 명을 넘겼습니다. 이는 역대 최다 기록으로, 불과 2주 전 100만 명을 처음 넘은 이후 또다시 최고치를 경신한 셈입니다.

이 폭발적인 이용자 증가의 중심에는 바로 챗GPT의 AI 이미지 생성 기능이 있습니다. 특히 지난 3월 25일 업데이트된 ‘GPT-4o 이미지 생성’ 기능은 이용자의 사진을 입력받아 일본 애니메이션 스타일로 자동 변환해주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 10~30대 이용자 사이에서 SNS용 프로필 사진(프사)으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지브리 스튜디오의 명작, '하울의 움직이는 성',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같은 감성적인 그림체로 재해석된 내 얼굴. 그건 단순한 AI 생성물을 넘어서, 하나의 콘텐츠가 됩니다.

심지어 오픈AI의 CEO 샘 올트먼도 자신의 X(구 트위터) 프로필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로 바꾸며 유행에 동참했습니다.


인기 폭발의 배경은? “지브리 감성 + 무료 AI 이미지 생성”

지브리 프사가 이렇게 인기를 끄는 이유는 단순합니다.

  1. 누구나 무료로 사용 가능하다.
  2. 일본 애니메이션 감성에 대한 향수가 있다.
  3. 이미지 퀄리티가 높고, SNS에서 튀는 스타일이다.

더불어 챗GPT는 텍스트 기반 대화 외에도 이미지 생성 기능을 웹/앱에서 바로 제공하기 시작하면서, 접근성이 극대화됐습니다. 따로 AI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아도, 챗GPT에 접속만 하면 손쉽게 지브리 프사를 만들 수 있다는 점이 인기 요인으로 꼽힙니다.


요즘 대세! '챗GPT 지브리 프사' 만드는 방법

📌 지브리 프사 만드는 방법 (챗GPT 기반)

  1. https://chat.openai.com 접속
  2. GPT-4 모델 선택 (Plus 사용자 전용 기능일 수 있음)
  3. "지브리 스타일의 내 프로필 사진을 만들어줘" 또는 영어로 “Create my profile picture in Studio Ghibli style.” 입력
  4. 사진 업로드 요청 시, 정면 얼굴 사진 업로드
  5. AI가 생성한 이미지를 다운로드하여 SNS에 업로드!

🔍 꿀팁:

  • 정면/측면 모두 가능하나, 밝고 선명한 얼굴 사진이 가장 잘 인식됩니다.
  • 원하는 그림체(예: 센과 치히로 느낌, 하울 풍, 디즈니풍 등)를 명확히 입력하면 퀄리티가 올라갑니다.

요즘 유행하는 그림체는? 지브리뿐만 아니라 너의 이름은, 세일러문도 인기

챗GPT에서는 지브리 외에도 다양한 애니메이션 스타일이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 인기 있는 그림체 TOP 5

  • 지브리 스튜디오풍 (센과 치히로, 하울 등)
  • 너의 이름은 스타일 (신카이 마코토 감성)
  • 세일러문 풍 클래식 감성
  • 디즈니 공주 스타일
  • 웹툰/네컷 만화 스타일

이런 스타일로 커플 프사, 가족 캐릭터화, 반려동물 그림체화까지 요청하면서 다양한 창작 트렌드가 생겨나고 있습니다.


GPT-4o 이미지 생성, 오픈웨이트, 그리고 오픈AI의 미래

오픈AI는 단순히 재미있는 프사 생성에서 멈추지 않습니다. GPT-2 이후 처음으로 '오픈 웨이트(Open Weight)' 모델을 공개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AI 모델의 핵심 기술을 일반 개발자와 기업에도 공유하겠다는 의미로, AI 생태계 전반에 파장을 불러올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오픈AI는 최근 소프트뱅크 주도로 약 58조 원(400억 달러) 규모의 투자 유치에도 성공하며, 기업 가치가 무려 441조 원으로 평가되기도 했습니다. 이 엄청난 투자가 AI 이미지 생성 기능의 상용화와 대중화에 더욱 속도를 붙여줄 것으로 예상됩니다.